토픽 블라블라

사실 공부는 끈기의 영역 아니냐

공무원 · l********
작성일05.27 조회수162 댓글34

어차피 남들이 다 발견하고 창조해놓은거
그냥 배우기만 하면 되는건데 거기에 뭔 학습능력의 큰 차이가 있겠냐
그저 수업 잘 듣고 복습 잘 하는 애들이 공부 잘 하는거지
그게 안되면 진도를 못 따라가고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되니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는거고 말야.

오래된 생각이다

댓글 34

공무원 · l*********

까먹어요 선생님!

공무원 · l******** 작성자

복습을 안하니 까먹지

오스템임플란트 · i********

시간 관계없이 공부하는 거면 그렇겠지. 주어진 시간 안에 결과를 내어야 하는 공부면 머리가 중요하지.

공무원 · l******** 작성자

수차례 회독하고 복습하면 주어진 시간안에서 충분히 좋은 결과 나와
그걸 하는게 힘들어서 그렇지

Amazon · k******

석사까지는 근성의 영역. 그 이후는 머가리의 영역이 맞음

공무원 · l******** 작성자

창의력도 기존의 학습물을 바탕으로 나오는거야.
물론 아주 사소한 차이로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으니 재능의 영역임.
근데 그 차이가 심하진 않다고 봄. 평범한 사람들은 말야

Amazon · k******

"내 전문 분야에서 완전히 새로운걸 발견/창작하는 것"이 그냥 뚝띡 나오는게 아냐. 기존의 것을 알고 이해하고 새로운걸 만들어서 증명하는건 머가리의 능력이 맞음 ㅇㅇ. 그래서 범재는 박사하면 5년이상씩 걸리는 경우도 있고, 천재는 3년만에 끝내는거고.

공무원 · l******** 작성자

근데 천재는 흔하지 않으니 대부분은 다 고만고만한 수준이란거

스타트업 · I*********

수학도 결국엔 암기라는 말 어릴 적에 엄청 싫어했는데 지금은 어느 정도 맞는 것 같아

공무원 · l******** 작성자

이해를 못하니 수학이 재미없지.
이해는 결국 차근차근 기초부터 회독하며 공부하면 가능해.
그걸 못하니 안되는거지.

스타트업 · I*********

음 내가 말한 핀트는 그게 아니긴 한데... 여튼 그렇지

서울특별시 · 블******

누구는 10번 설명을 들어야 이해하는데 누구는 5번에 되는 머리 차이는 있지
다만 10번이든 5번이든 그걸 버티는 근성이 없으면 머리 좋아도 무의미

공무원 · l******** 작성자

10번 들으면 되지 ㅋㅋㅋ 결국 끈기의 차이란거야 그게

베올리아코리아 · i*******

끈기보다 지능 문제가 크다 글쓴이처럼 생각하는 애들은 iq 100언저리임 140대 언저리면 남들과 다르구나가 느껴진다 한번만 봐도 기억이 나고 연산 같은건 또래보다 쉬워서 진도가 빠르다 이런 애들은 복습이 중허지 하는데 머리 좋은 애들은 한번만 해봐도 다 기억한다 그런 애들은 선행학습이 더 중요하다

공무원 · l******** 작성자

어차피 학습은 아이큐 차이는 큰 의미없다.
근성을 가지고 꾸준히 한 애들은 결국 좋은 결과 나오더라고
무언가를 창조하는게 아니자나 그저 학습이니까
이해를 잘 시켜주는 선생이 달라붙고 끈기가 있으면 결과는 좋은거지.
복습만 잘한다면

공무원 · r*******

그게 재능인데.. 피아노도 그렇고 연습시간 오래가져가는거 자체가 재능임

공무원 · l******** 작성자

끈기도 재능 맞음
학습에 있어선 끈기가 제일 중요하더라이거임

약사 · l*******

하지만 문제를 맞추어야하지

스타트업 · I*********

맞혀야

한국전력공사 · 현***

일부
공감은 하지만 쓴이 주변에 진짜 머리좋은애가.없나보네. 한번 만나보면 생각이 달라질거야

공무원 · l******** 작성자

그런 애들은 극소수더라
그리고 정도의 차이도 있고 말야

SC제일은행 · 기******

한국의 교육제도는 천재성보다 성실함에 집중하고있음

Sky 재학생 평균 IQ보다 인서울중위권 재학생 평균 IQ가 더 높았다라는 기사도 나온적있음

번뜩이는 재능/창의력 보다는 반복숙달이 중시되는..

인기 채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