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육아

우리 아가들이 성인이 되면 어떤 세상애서 살아갈까 (새벽감성 주의)

새회사 · 메*********
작성일2023.04.13. 조회수693 댓글5

그냥 그런 얘기를 해보고 싶었엉
지금 태어나는 애들이 성인이 되면 어떤 세상에서 살아갈까??
심각한 저출산으로 대한민국 섭종 이민 다같이 망함 등등 이런 댓글들은 사양할게.
그걸 몰라서 묻는게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땅에서 누군가는 결국 앞으로도 계속 살아갈거 아냐
정말로 그런 얘기를 해보고싶어 우리 아가들이 어른이 됐을땐 세상이 어떻게 바뀌어있을까?
한해 한해가 다르게 너무 빨리 바뀌는 세상이잖아

예를 들어 난 7차 교육과정때 입시를 치렀거든?
근데 나때만 해도 이공계 기피현상이라는 말이 있었어ㄷㄷㄷㄷ 아마 기억하는 사람들 많을거야
외고의 인기가 하늘을 찔렀고, 인문계고에서는 죄다 문과로 줄서서 이과 다 망한다 죽는다 이런 얘기가 엄청 나왔었는데.
그걸 들으며 자란 나는 정작 그 얘기와 전혀 동떨어진 시기에 사회활동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니 우리 아가들 컸을땐 얼마나 격세지감이 되어있을지...
엄빠들의 진지한 의견을 들어보고싶어👏👏

일단 내 생각엔

- 장기적으로 다문화사회를 넘어 종국엔 우리 아이들 세대에 한국이 대규모 이민사회가 되는 건 피할 수 없을 것이고

- 세수 부족으로 실효적인 노인복지는 하나 둘 폐지되어 규모가 대폭 축소될듯.

- 같은 사유로 의료민영화가 어느정도 진행되기 시작할 것 같다. 건보재정이 지금 상태론 지속 불가능한데다 최근 필수의료영역 이슈를 생각해보면 우리때는 몰라도 후세대엔 어떤 식으로든, 얼마 간이라도 민영화는 될 거 같아.

- 일하는 방식이 지금보다 더 다양해지고 유연해져서 긱워커, 디지털노마드, 재택/유연근무가 더 보편화될 것 같아.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리모트잡으로 해외기업에 채용되어 일하는게 옛날에 비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건 아니잖아?
그때 되면 오히려 전략적으로 비정규직이나 프리랜서로 일하려는 인구도 생길 것 같음.

- 바로 위에 언급한 이 일하는 방식의 다양화가, 조세 당국과 경제활동인구 간의 탈세/절세 전쟁의 핵심이 되지 않을까... 부양인구는 엄청난데 세수는 적을거잖아?
어떻게든 세수를 확보하려는 조세당국에 대응하여 어떻게든 폭탄을 덜 맞으려는 경제활동인구는 일하는 방식을 이리저리 달리하여 과세소득을 축소하기 위해 필사적일 듯 싶다.

- 인구 구조나 이민 문제로 거시적인 사회적 갈등은 크겠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작은 커뮤니티 단위에서 이웃간의 교류, 특히 공동육아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우리때보단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런 생각을 가지고 있음.
지금도 사회가 파편화돼있는 것에 환멸과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내 생각엔 우리때까진 극단적인 개인화, 파편화가 사회적으로 진행될 거 같고, 왠지 다음 세대에선 우릴 반면교사 삼을 것 같아.

다른 부모님들은 어떻게 생각해??

+) 아 추가로 세계적인 추세로 기후변화가 꽤 진행되어서 해수면이 올라가는 바람에, 사람들이 점점 내륙으로 갈 것 같음.

댓글 5

의사 · ಠ****

노인들에게 복지혜택을 드리기 위하여 엄청난 세금을 내게됨

새회사 · 메********* 작성자

ㅜㅜㅜ 댓 잘 보고 있었는데 대우조선해양 왜 댓삭했어잉

공무원 · l*********

삼전은 대학교만 졸업하면 바로 들어가는 시대?

새회사 · b*****

나도 너무 궁금해..30년 뒤 울애기가 살아갈 세상
지난 10년간 스마트폰 보급이후로 빠르게 변한 세상이
앞으론 대체 어떻게 변할지

NAVER · t*******

어문계 인기가 하늘을 찌르던 시기에 어문계 전공하고 지금은 개발자 하는 입장에서...
직업 선택에 대해서 아무 조언 안하려고 ㅎㅎㅎ
나도 대학 때 내가 늦은 나이에 개발을 할 거라 생각도 못했고, 인생이 예측한 대로 흐르지 않는 다는 걸 너무 느껴서ㅎㅎ
단, 국영수는 중간 이상은 하라고 할 거 같고.( 뭘 해도 기본 베이스니 )
많은 경험은 일찍 하라고 할 거 같음. 여행이던 투자던.

인기 채용

더보기

육아 추천 글

토픽 베스트

반려동물
성격유형
주식·투자
보험
TV·연예
직접 홍보
결정사연애결혼
송파꿀맛탐험대
자동차
기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