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블라블라

공무원 연금이 국민연금 보다 왜 안 좋나요?

삼성SDS · l*******
작성일2023.11.22. 조회수4,027 댓글115

블라에서 공무원 분들이 안 좋다고 내세우는 근거에 대해
반박해 보았습니다
재반박 환영합니다
제가 모르고 있는 부분, 틀린 부분이 있을테니까요.

1. 공무원 연금 보험료율 18% 지급률 1.7%
국민연금 보험료율 9% 지급률 1%
국민연금이 더 좋은거다?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이나 모두 ‘최근 3년간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이 반영된다.
평균소득이 200만원이고 자신 소득이 100만원이며, 소득대체율이 40%라면 200만원의 20%(40만원)와 100만원의 20%(20만원)가 각각 반영되어 연금액은 60만원이 된다. 즉 자신의 소득이 100만원이라면 실제 소득대체율은 60%가 된다. 반면 자신의 소득이 가입자 평균소득보다 높을수록 자기 소득 대비 소득대체율은 떨어지게 된다.
최근 3년간 가입자 평균소득인 국민연금의 평균소득은 연금액 산출에 50%가 반영되며 기준금액은 243만 8,679원이다.
반면 공무원연금은 지급률 중 1%가 반영된다. 2035년 기준 지급률 1.7%를 감안하면 반영비율이 58.8%로 국민연금보다 더 많다.
현재 기준금액은 530만 9천원이다.
즉, 공무원의 평균소득이 국민연금보다 약 2.2배 많으며 반영비율도 높다보니 결과적으로 명목소득대체율보다 훨씬 많은 연금을 받게된다
공무원의 30년 재직기간 평균급여를 503만원으로 가정시 예상연금액은 267만 5,600원이었다.
반면 동일한 소득으로 동일기간 국민연금 가입자의 예상연금액은 113만 5천원이었다. 매월 격차는 154만 600원으로 공무원이 2.36배 많다.
참고로 503만원은 현재 국민연금 소득상한액이다. 국민연금은 아무리 소득이 많아도 보험료 납입과 연금산출 기준 최고액은 月503만원이다.
한편 해당 기간 공무원-국민연금 가입자가 30년간 납부하는 기여금(보험료)은 국민연금 8,148만 6천원, 공무원 1억 6,297만원으로 둘의 차이는 8,148만원이다.
연금을 65세부터 85세까지 20년 받을 경우 공무원 6억 4,214만 4,000원, 국민연금 2억 7,240만원으로 공무원이 3억 6,974만원 더 받는다.
물론 두 제도 모두 연금액에 물가인상률이 반영되기 때문에 실제 차이는 더 커진다.

요약 : 공무원이 2배 더 내는건 맞지만 2.36배+a 더 많이 받습니다.

2. 퇴직금이랑 퇴직 수당 차이는 어떻할꺼냐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 귀속 연령별·근속연수별·성별 퇴직소득’ 자료에 따르면 근속연수가 5년 이상~10년 미만인 퇴직자 53만465명이 받은 퇴직 급여는 총 10조1866억원이었다.
1인당 평균 퇴직금으로 계산하면 1920만원이다.
이는 같은 해 전체 퇴직소득자의 1인당 평균 퇴직금인 1501만원보다 419만원(28%) 더 높은 수준이다.
근속연수별로 보면 ‘20년 이상~30년 미만’ 구간의 1인당 평균 퇴직금이 1억894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30년 이상’ 1억8368만원, ‘10년 이상~20년 미만’ 6172만원, ‘5년 미만’ 466만원 등 순이었다.
다만 전체 퇴직자 10명 중 7명(74%)에 해당하는 245만명은 퇴직금이 1000만원에 못 미친 것으로도 나타났다.

퇴직금이란게 왜 생겼는지 생각해보면 30년 넘게 근속 가능한 공무원이 진짜 쩐다는걸 알 수 있으실겁니다. 퇴직금을 이야기 하자면 근속연수를 빼놓고 이야기 할 수가 없습니다.
일단 퇴직금의 존재 이유부터 생각해보면 퇴, 실직 이후 생활을 법적으로 어느정도 보장해주는데 있습니다. 공무원은 잘릴 일이 없으니 공식적으로 퇴직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고 연금으로 대체 하고 있고요.
위에 기사만 보더라도 대다수 근로자의 수령 액수가 짧은 근속 연수 때문에 얼마 되지 않는걸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공무원이 퇴직금까지 받으면 100만 이상의 사람들이 최상위 수령 구간에 다 포진이 되겠네요. 안 짤리는것도 모자라 준사기급 아닌가요.
30년 이상 근속을 무조건 할 수 있음에도 퇴직금을 민간 기준으로 꼭 받아야겠다고 하면 인사체계도 민간기준으로 바뀌어 저성과자에 대한 정리해고 구조조정도 가능해야 할 것이고, 연금도 국민연금으로 완전 통폐합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 공적연금 통합 누가 반대하고 있죠? 공무원 노조가 반데하죠? 왜 그럴까요? ㅎㅎ

요약 : 안 짤리면서 퇴직금까지 30년치 다 받겠다는건 놀부 심보입니다. 심지어 퇴직금 받고 싶으면 공적연금 국민연금으로 통합하자고 하는데 정작 반대하는건 공무원 노조입니다.

3. 공무원은 기초연금 수령도 못한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 연금수급자(단독가구) 선정기준액 202만원 이하, (부부가구) 선정기준액 323.2만원 이하

공무원도 기초연금 준다고 가정해볼게요.
9급 공무원 평균수령액 268에 비교해보면 단독가구는 애시당초 수급 기준이 안되고요
부부 기준으로 보면 배우자가 국민연금 최저 납입금+ 납입기간 매달 9만원 20년 동안 내서 수령액이 35만원이라는 전제하에 323 - 267 - 35 = 21 만원이지만 부부 동시 수령시 20% 감액되어 최대 17만원 받게 되네요.
이게 배우자가 국민연금 납입액이 9만원이라는 전제고요. 직장을 다녀서 평균수령액인 75만원 넘게 되면 역시 수급기준에서 제외됩니다.

요약 : 기초연금 수급해도 배우자가 소득이 0원이였다는 전제하에 지금보다 최대 월 17만원 더 받는 겁니다. 혼자 살거나, 배우자도 국민연금 56만원 이상 수령한다면 기초연금 수령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결론 : 공무원 연금 나쁘지 않다.

tag

공무원공무원연금공단국민연금공단

댓글 115

국세청 · I*********

다른 건 모르겠고 내 월급 실수령액이 2.39백만원인데. 기여금 30마넌 넘게 내는 게 맞는 건지ㅜㅜ (세전으로 해도 급여 3백 안넘음..ㅠㅠ) 제 급여 정도면 국민연금 얼마 내시나요??

삼성SDS · l******* 작성자

절반이에요

작성자가 삭제한 댓글입니다.

삼성SDS · l******* 작성자

보통 블라에서 보니 퇴직금 받아야 된다는 분들이 계셔서 반박해본거고요 공무원 노조에서도 지속적으로 퇴직금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공무원 노조와의 의견이 상이한 부분은 사실 제 입장에서는 이해가 잘 안 가긴 하지만 ( 현 구조가 국민연금 전환+ 퇴직금 보다 유리하다고 보기 때문에) 젊은 공무원들이 대다수 전환을 원한다면 현재 정부가 계속 추진 시도중인 공적연금 통합 정책과 스탠스가 맞기 때문에 공무원 연금 없어지는건 시간문제라고 생각이 들긴 합니다.

작성일2023.11.25.

직업군인 · j*********

1번은 전적으로 맞는 이야기이고 대다수의 공무원들이 인용하는 2배내고 1.7배 돌려받는다는 계산은 9급입직 9급퇴직으로 승진 고려 없이 호봉만 증가한 계산이여서 여론을 호도하기 위한 목적이 다분한 계산으로 공무원들이 제발좀 안꺼냈으면 좋겠는 이야기이긴 합니다.

다만 2번같은 경우는 5년~10년 근속연수인 노동자가 그걸로 노동생활을 마무리 하는것도 아니고 창업의 경우도 있겠지만 이직등으로 노동기간을 연장하는 경우가 훨씬 많을테고 이 경우 약 25~30년의 노동기간동안 총 퇴직금은 결국 본인 월급x근속연수(퇴직금형태에 따라 다를수있겠지만)가 되게 됩니다. 따라서 당장 한해에 받은 퇴직금이 1000만원에 못미치는 인원이 70%이기 때문에 공무원 퇴직금이 적지 않다는 논리는 맞지 않아 보입니다. 70%인원도 1000만원이 안되는 짧은 근속연수의 퇴직금을 누적으로 받으면 어느정도 큰 돈이 될테니까요.

또한 퇴직금의 존재이유에 대해 말씀하셨는데 제 생각에 퇴직후 생활은 국민연금또는 공무원연금과 같은 연금제도로, 실직후의 생활은 실업급여로 국가에서 지원해주고 있으며 퇴직금은 그와는 별개로 단순히 일을 n년간 한것에 대한 보상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부분은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니 퇴,실직 이후 생활을 법적으로 보장해준다고 적으신 부분의 근거가 궁금합니다. 어떤 일이던지 명분이 중요하죠. 퇴직금의 명분이 퇴직후 생활에 대한 보장이라고 한다면 공무원의 퇴직금이 적은것에 대한 합리적인 이유가 될것 같네요.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말씀하신 퇴직금에 대하여 본인들의 수십년간의 노고를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결론에 대해서는 적극 공감합니다. 공무원 연금이랑 국민연금 통합하자고 하는 공무원들 저는 다 바보라고 생각합니다.

삼성SDS · l******* 작성자

댓글 감사합니다.
퇴직금에 법적 근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기는 하나 퇴직금의 시작은 연금이란 개념이 생소하던 시절 생계보장 할 수 있는 방안이었습니다. 다만 퇴직금이 임금후불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고 보면 공무원 분들도 받아야한다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겠네요.

정확한 자료를 찾기 어려우나 40대 직장인 평균 이직 횟수가 4.2회 정도라고 하네요. 그리고 평균적으로 50 전에 퇴직을 합니다. 퇴직금에서 근속 연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는 만큼 5년 정도 기간동안 너댓번 받는다고 보면 금액이 그리 크지 않을꺼에요. 특히 20대, 30대 초에는 월급도 더 적으니.. 지금 공무원 노조에서 공무원 연금 + 퇴직금을 달라는게 사리에 맞지 않는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사기업 근로자들처럼 국민연금으로 전환 후 퇴직금을 주는 방안에 대해서는 윗댓글 공무원님이랑 이야기 많이 했는데 시간되시면 한 번 읽어보세요. 제가 볼때는 현 구조가 더 유리합니다.

대댓글 이미지

직업군인 · j*********

저도 정상지급이 보장된다면 국가연금제도가 물가인상을 반영해주는 제도라는점에서 압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점에서 보장이 안되어있는 국민연금과 통합해달라는 공무원들은 진심인지 멍청인지...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글쓴님위 생각에 동의하는 부분이에요. 그런데 글쓴 논지와는 조금 맞지 않을 수 있지만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모두 계산식에 들어가있는 전체 납입자 평균 임금액이 부의 재분배 역할을 한다는점에서 일부 고위공무원들에게는 상당한 손해일 수 있고 그 계층의 인원들에게는 공무원연금도 당근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맹점이 있습니다. 물론 나중에 한자리 할 수 있다는 기대값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몇년전 이슈가 되었던 방통위 사무관이 김앤장에서 고문을 하고 있는것에 국민들이 화를 내듯이 그런 방향이 올바른 방향은 아닐거에요. 공무원들이 더 이상 공무원연금을 국민연금에 합쳐달라고 멍청한 소리를 하지 않도록, 고위 공무원들도 나랏일을 한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임금 인상이 필요한 부분은 인상해주고 충분히 훌륭하게 기능하고 있는 연금제도는 대대적으로 홍보해서 공무원들 어깨좀 피게 해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런글 써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이런글로 인해 공무원 생각보다 괜찮다는 인식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작성일2023.11.25.

공무원 · 파*****

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292470
기사보면 2016년 이후 입직자 예상연금액 134만원이라고 한것이 9급으로 임용해서 30년 이상 9급으로 승진없이 퇴직한것으로 가정한, 말도 안되는 계산값이라는거죠?
그럼 어쨌든 134만원 아니고 인사혁신처에서 무슨의도인지 모르나 잘못된 자료를 발표하고 있다는 거네요?

알려주면 되지. 뭐 바보 멍청이라고까지 합니까?

서울특별시 · i*********

퇴직금만 정상지급하면 개꿀 인정함

국세청 · i*******

국민연금도 공무원연금처럼 더 많이 내고 많이 받는쪽으로 바뀌어야한다고 봐요ㅎㅎ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거보다 더 올리고 상한도 폐지해야, 기업들이 부담하는 보험료도 오르고 나중에 은퇴하고 근로자들한테 돌아가는 혜택도 많을텐데요

삼성SDS · l******* 작성자

국민연금 수익률이 개사기 수준이라.. 더 받으면 유지가 힘들꺼에요.
공무원 연금이야 몇 조 안되니 세금으로 메꾼다해도 이건 세금으로 메꿀수도 없고..
더 내고 덜 받아야 맞는건데 이해당사자들 설득이 쉽지가 않죠ㅠ..

국세청 · i*******

우리나라 세금이 다 그러하듯, 혜택은 비슷한테 부담은 부유한 사람에게 몰빵되어 있는데요. 소득 상한 없애고, 돈받을때는 상한두면 어느정도 해결되어요

대검찰청 · i*********

나도 공직에 있지만 공무원연금은 개혁이 앞으로 한두차례정도 더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 이 상태로 굴러가면 공무원연금 재정상태도 지속불가능함.

공무원 · l*********

그럼 국민연금도 보험료율 18%올리자
근데 왜 국민들은 반대함?

키파운드리 · 1*********

본문중에
국민연금 최고소득 가입자는 보험료율이 13%를 넘어서면 수익비가 1 미만으로 낮아지게 된다.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296815

LG전자 · I*******

정부가 지급보증 안해주니까 반대하지

작성일2023.12.06.

국세청 · i*******

연금제도란 게 복잡하고 설명하자면 긴데...
결론적으로 저에게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저는 무조건 국민연금으로 가고 근로기준법 적용받고 퇴직금 받겠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젊은 공무원들은 다수가 저와 같은 선택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삼성SDS · l******* 작성자

뭐.. 선택권이 어떻게 주어지는가는 모르겠는데 가장 최상의 경우는
공무원 연금 + 정년 보장 + 근로기준법 적용 + 퇴직금 수령이겠죠.

국세청 · i*******

ㅎㅎㅎ 그건 너무 불가능한 선택지구요. ^_^;
공무원 시스템 적용이냐, 사기업 시스템이냐로 둘 중에 고른다면 후자를 택하겠다는 말씀 드린거에요.

작성일2023.12.03.

인기 채용

더보기

블라블라 추천 글

토픽 베스트

여행·먹방
여행·먹방
게임
육아
시술·성형
유우머
블라블라
암호화폐
TV·연예
육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