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주식·투자

당일 테마 동향

기업은행 · 안****
작성일2021.06.10. 조회수1,424 댓글2

■ 6월 10일 테마동향 ■

■강세테마 : 인터넷 대표주, 치아 치료(임플란트), 줄기세포, 제대혈, 시멘트/레미콘, 의료기기, U-Healthcare(원격진료), 면역항암제, 제약업체 등...

■약세테마 : 원자력발전, 전력설비, 전선, 건설기계, 항공기부품, 백신여권, 자동차 대표주, LPG, 셰일가스, 건설 대표주, 희귀금속(희토류 등) 등...

■카지노

카지노 업종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상승.

▷KB증권은 카지노 업종에 대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올해에도 적자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내년에는 기저효과를 바탕으로 흑자전환에 성공, 2023년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서는 성장성을 보이며 실적이 빠르게 턴어라운드할 것으로 전망. 특히, 라스베이거스의 사례에서 보듯이 카지노의 수요는 비탄력적이어서 하늘길이 열리고 중국과 일본인 방문객들이 증가하면 기저효과를 바탕으로 턴어라운드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

▷아울러 2023E 지배주주순이익 성장률은 29.2%로 KOSPI 2023E 지배주주순이익 성장률 8.5%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에 파라다이스, 강원랜드 등 카지노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법정화폐 채택 속 가상화폐 반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현지시간) 엘살바도르 의회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하는 법안을 공식 승인했음. 재적 84명 중 62명이 찬성해 압도적 다수로 법안이 가결된 것으로 전해짐. 이에 최근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던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이 반등세를 기록.

▷업비트에 따르면, 최근 3,700만원 선을 하회하기도 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이날 오전 11시경 4,240만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270만원 선으로 밀려나기도 했던 이더리움도 300만원 선 부근까지 반등하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비덴트, 위지트, SBI인베스트먼트 등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희귀금속(희토류 등)

美中 상무장관 첫 통화 소식 속 하락.

▷언론에 따르면, 금일 미국과 중국의 상무장관이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첫 전화통화를 가진 것으로 전해짐. 레이몬도 美 상무장관과 왕원타오 中 상무부장은 상호 관심사에 대해 솔직하게 의견을 나눴으며, 양측은 무역·투자 실무협력을 건전하게 발전시켜 갈등을 적절히 처리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 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국알앤에스, 티플랙스, 유니온머티리얼, 유니온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하락.

▷한편,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9일 美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이 소유한 틱톡과 위챗의 사용을 금지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철회하고, 중국을 비롯한 적대국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이 미국의 중요 데이터에 미치는 안보 위협 검토를 요구하는 새로운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으로 전해짐.

■제약/바이오

홍남기, 세계 5대 신약개발 강국 도약 언급 소식 등에 상승.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금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혁신성장 BIG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추진회의를 주재하고 백신·신약개발 지원을 위한 임상시험 인프라 확충방안을 논의했음.

▷홍 부총리는 "신약개발 성공 시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나 임상시험 부담으로 도전이 쉽지 않은 현실이다"며, "임상 전(全) 단계 스마트화,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 글로벌 임상 집중지원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세계 5대 임상시험·신약개발 강국 도약 목표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켐온, 에이비엘바이오, SK케미칼, 신일제약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임플란트 등 치과 보장성 확대 의견 개진 소식 및 임플란트 수출액 호조, 보복 소비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전일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의약단체들과 보건의료발전협의체 제14차 회의를 개최한 가운데, 생애주기별 건강관리를 위해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확대, 임플란트 등 치과 보장성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개진된 것으로 전해짐.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5월 수출액에서 임플란트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66% 증가한 4,099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대신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임플란트 업종 밸류에이션은 코로나 이전 수준 보다 강한 턴어라운드, 펀더멘털 회복세까지 확인하며 리레이팅을 경험했다고 밝힘. 현재 임플란트 업종 평균 12MF는 18배 수준까지 올라왔으나, 코로나19 이전수준을 상회하는 역대 최대 실적 경신이 전망되는 만큼 과거 25~30배 이상 수준까지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오스템임플란트, 오스테오닉, 바텍, 덴티움 등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U-Healthcare(원격진료)

중기부 권칠승 장관, 원격의료 의료법 개정 추진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대구광역시 권영진 시장과 전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 위치한 ‘스마트웰니스 규제자유특구’를 방문해 올해 하반기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규제특구 관계자들은 임상실험에 한해 원격의료 규제를 해소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 개정에 대해 권 장관은 "하반기에 의료법을 좀 정면으로 문제제기하고 고쳐볼 요량이라며, 안 되는 이유는 의료계가 안 도와줘서인데, 정부는 의지가 강력하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차바이오텍, 인바디, 유비케어 등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화장품

코로나19 백신 접종 본격화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화 되면서 오는 7월 1차 백신 접종자와 예방접종 완료자들에 대한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앞두고 화장품 업종에 대한 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금일 오전 11시 기준 국내 코로나 19 백신 1차 접종자는 1,006만705명으로 집계. 이는 전체 인구 대비 약 19.6%에 해당하는 수준임. 정부는 이달 1,300만명 + a, 최대 1,4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마칠 계획이며, 9월까지 최소 3,6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마무리하고 11월 집단 면역을 형성한다는 계획임.

▷케이프투자증권은 지난 5월말 보고서를 통해 1차 접종자 이상 단계에 한해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됨에 따라 컨택트 관련 업종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 기존 위축됐던 색조 화장품 소비가 되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2Q21부터 본격화되는 기저효과까지 더해 화장품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유안타증권은 지난 1일 보고서를 통해 지역 내 리오프닝이 진행됨에 따라 색조 수요가 상승중이라며, 색조 밸류체인에 대한 관심 확대를 권고.

▷이와 관련, 금일 에이블씨엔씨, 제이준코스메틱,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오가닉티코스메틱, 클래시스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주식정보

댓글 2

공무원 · i*********

이런거 넘모 좋다

현대중공업 · 불******

코로나 종식되면 가장 큰 혜택은 여행업종..

그러나 비행기 값보다 여행갈때 새옷 장만해서 뽐내고 가는 비용이 더 크다...ㅎ

그래서 여행주 보다 봉제업을 매수 하세요..

여행주 많이 올라서 부담됨..

인기 채용

더보기

주식·투자 추천 글

토픽 베스트

OTT뭐볼까
성격유형
회사생활
패션·뷰티
주류탐험
여행·먹방
반려동물
TV·연예
OTT뭐볼까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