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이직·커리어

은행 이직 생각하시는 분들 꼭 보시길 바랍니다.

신한은행 · l****
작성일03.23 조회수2,399 댓글34

케바케지만 일반적인 은행의 장단점에 대해서 작성해보았습니다.
은행 취업 또는 이직을 생각하고 계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급여
직접 눈으로 본 바에 의하면
만 10년 근속 과장 기준 110~120백만원
부지점장급의 경우 150백만원
지점장급의 경우 160~210백만원
제가 눈으로 직접 본 금액이고, 상단~하단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더 적을 수도, 클 수도 있겠죠.

2. 실적 스트레스
영업점 기준 실적압박 정말 심합니다.
리테일, 프리미어 직원들은 카드, 방카 등으로 실적 압박 받고,
기업 직원들은 KPI 관련 스트레스를 아주 많이 받습니다. 리테일 실적도 신경 써야 하구요.
부지점장 이상 관리자급으로 가면 실적압박이 없느냐? 제가 볼 땐 위로 갈수록 실적에 대한 압박은 커지면 커지지 작아지진 않아요.
본점 가면 좀 괜찮지 않냐? 본점도 부서 나름인데 일반적으로 영업점보다 낫긴 합니다만 전체 인력 중 25~30% 내외로 적고, 평생 본부에서만 근무하는 직원은 아주 드뭅니다. 대부분의 직원들은 영업점 근무에 노출되어 있어요.

3. 조직 문화
돈을 만지는 곳이고 실수가 용인되지 않는 업무특성상, 업무긴장도가 높고 군대문화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여직원들은 그나마 조금 정도가 덜할 뿐, 긴장 속에서 근무하는 건 같습니다.
상명하복하고 묵묵히 이겨내는 게 미덕으로 여겨지는 문화입니다.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 등 비교적 수평적인 공공기관 문화에 익숙하고 맞는 분이라면 절대적으로 은행 이직은 말리고 싶습니다.

4. 술/접대 문화
은바은, 부바부, 지바지, 팀바팀에 따라 아주 다릅니다만은,
일반적인 시선과 다르게 접대는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받는 경우도 많고, 하더라도 정말 큰 거래처와 어쩌다 한번 식사 또는 골프하는 정도이고 주로 부지점장 이상이 담당합니다.
술은 많이 먹는 팀은 주 2회 이상, 정말 안 먹는 곳은 월 1회 이하도 경험했습니다.

5. 출퇴근, 휴가 등 워라밸
부바부이지만, 본인 및 주변 경험에 따르면 당행 기준 8:30 출근, 18:00 ~ 18:30 퇴근이 일반적입니다.
주말근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할 거 같습니다.
휴가는 은바은인데 보통 15~20일 범위 내에서 쓰고 잔여연차는 돈으로 보상 받습니다.
5일 이상 길게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단, 25일, 말일 등 업무가 몰리는 시기에는 장기간 휴가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고, 명절 전후로 내방고객이 많은 편이어서 명절과 붙여쓰는 것은 지양하는 편입니다.

6. 순환근무
본인이 원하는 권역 내에서 이동하는 편이고 서울근무가 용이합니다. 이 부분은 중앙부처 또는 중앙공기업보다는 확실히 나을 듯합니다.

7. 영업점 생활
상기한 대로 전체 인력의 70% 이상은 영업점에서 근무합니다.
만족도는 대부분 "본부 > 영업점" 입니다.
실적 좋은 영업점, 좋은 동료를 만나면 재밌게 다니지만 경험상 그렇지 않은 적이 더 많습니다.
은행 영업점 창구는 일반 행정 또는 사무직과는 전혀 다릅니다. 내부고객, 외부고객 양쪽에 치이는데 이거에 질려서 그만두는 사람 많습니다.

8. 정년, 희망퇴직
보통 만 55~56세에 은퇴하고 2~3년분의 임금을 받고 퇴직합니다. (근속에 따른 법정퇴직금 별도 지급)
뉴스에 나오는 희망퇴직은 정말 희망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니, 정년 걱정은 크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9. 은행업의 미래
카카오뱅크 처음 등장했을 때, 정말 떠들썩했었죠. 모든 시중은행이 사라질 것 같은 분위기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어떤가요?
뉴스에서처럼 10년 후 창구직원 일자리가 사라질 일은 없다고 봐도 됩니다. 앞으로 30년이 아니라 300년 후에도 은행업은 같은 자리에 있을 겁니다.
일반 고객이 보는 것처럼 은행은 통장, 카드, 공과금 수납만 하는 게 아닙니다.
정부로부터 수탁받은 사업이 아주 많아 사실상 정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몸이죠. 공공에서 하기 힘든 금융 관련 사업은 은행에 다 몰아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외국환, 수출입 업무와 같이 아예 은행만 할 수 있게끔 법으로 규정한 사업도 많습니다.
영업점 창구 직원의 수 자체는 감소할 수 있겠지만,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아닌 자연스러운 퇴직 및 입행에 따라 조절되고 있습니다.

□ 총평
항목별 장단점이 극명한 직종이며, 각 항목을 가중평균하면 근로자로서 은행원이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포지션은 "중~중상" 정도라고 생각됩니다.
사람 간의 스트레스, 경쟁시스템에 어느 정도 적응한 분에겐 추천하지만 취약하다면 절대 비추입니다.
특히 실적, 영업점 스트레스는 상상 이상입니다.

댓글 34

SK이노베이션 · l********

생각보다 낮네.? 영끌 원징기준인가요?

NH농협은행 · j*********

대기업이나 타금융사 대비하면 은행은 최하위권이지 연봉

그래도 그런곳들 대비 입사난이도 낮고 비스무리하게라도 쫓아가는거에 위안을ㅜ

SK이노베이션 · l********

증>캐=손보=카드>은=금공>생보
아니냐?

NH농협은행 · j*********

금공은 공공기관이라 예외로두고

생>=은 정도지 않을까싶넹. 물론 급여낮은 은행있고 낮은 생보있으니 절대적이진않지만

NH농협은행 · j*********

요즘 은행들 사람부족해서 난리에 갈수록 공공기관화?되는 업무들이 느는느낌이긴하네

국민은행 · !*******

통틀어서 자식에게 추천 안함... 어쩌다 이길을 1n년째 걷고 있지만 ㅜ ㅜ

신용보증기금 · 코**

은행과 금공의 중간적 성격인 중앙회가 좋다는 걸 요즘 새삼 느끼는 중

신한은행 · l**** 작성자

은행이나 공기업에 비해 언론의 관심 밖에 있어서 잘 때리지도 않고, 정부의 개입도 적은 편이어서 실속이 좋은 것 같습니다 ㅎㅎ

경찰청 · I*********

이상하네 은행원자리 많이없어지던데 ㅠ
내가살던 부산 은행 통폐합되어 없어진게 작년에 2곳인가되고.
집 대출관련 다니던 은행도 1년만에가보니 대민업무 하시는붐들 자리 3분의1 날라갓다고 하시던데.(따라서 기업대출관련은 타지점가야된다고)

신한은행 · l**** 작성자

본문에 기재된 대로 직원 수는 감소한 게 맞는데,
그 감소가 권고사직 등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은행도 60년, 70년대상들이 아주 많은데, 그들의 정년퇴직 수는 꾸준한 상황에서 신입입사자 수를 줄이기만 해도 직원 수는 확 줄죠.

공무원 · i*********

cbdc 나와도 버티는게 가능해요?

신한은행 · l**** 작성자

글쎄요. CBDC 도입을 연구하는 국가들은 많지만, 실현되는 건 아주 불투명합니다.
실현된다고 해도 수십년 이상이 걸릴 테고, 결코 사전적 개념 그대로 실현되지도 않을 것이며,
실현된다고 해도 발행된 CBDC 통화는 대부분 은행을 통해 유통될 겁니다. 중앙은행이 발행된 통화를 은행을 거치지 않고 시중에 직접 유통한다면 유동성과 신용창조 효과는 아주 떨어지게 됩니다.
통화발행과 유통이 경제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중앙은행이 물가 및 경제성장률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들여다본다면,
CBDC가 언론에서 말하는 그대로 실현되리라 보기는 아주 어렵다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 l*********

지금 한국은행에서 it 경력직 엄청 뽑는거 모르시나봐요..
연구개발 엄청 활발히 진행중이고 한국은행내 메인 사업이랍니다.
보수적인 중앙은행에서 작년에 최초로 경영경제보다 it를 더 많이 뽑았습니다.
과연 어떻게 될까요..

신한은행 · l**** 작성자

IT 인력 대거 채용은 한은뿐만 아니라 모든 금융업계 공통사항입니다.
CBDC, 블록체인 등에 대한 연구가 곧 도입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미국도 CBDC에 대해 연구는 하고 있지만 CBDC가 미국 통화질서에 장점보다는 단점이 될 것을 알기에 도입 계획은 전혀 없죠.
단, 관련 기술은 분명 유의미하기에 연구조차도 하지 않을 수는 없는 겁니다.
금융체계, 통화의 본질, 화폐경제에 대해 살펴본다면, CBDC가 각국 중앙은행에 관련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 화두를 던질 수는 있겠지만, 실제로 구현되기란 아주 어렵다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공무원 · l*********

장단점이라면서 거의 장점위주로 써놨구만 ㅋㅋ

국민건강보험공단 · 1*******

건보형 고구마 먹고 블라인드서도 저러네

새회사 · l*********

남자직원이 여자직원보다 업무 강도 쎄나요..? 성별별로 업무강도 다른건 처음 들어보네

SK이노베이션 · l********

ㄹㅇ ㅋㅋㅋ노답인거죠 남자 업무 몰빵

인기 채용

더보기

토픽 베스트

OTT뭐볼까
나들이 명소
패션·뷰티
암호화폐
주류탐험
헬스·다이어트
이직·커리어
우리회사 채용해요
블라블라
자녀교육·입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