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주식·투자

이탈리아가 위험한 이유(장문)

삼성SDI · 블***
작성일2020.03.15. 조회수4,213 댓글51

결론은 제일 밑에 세 줄 요약해놓음.

미리 적자면, 나는 인버스충이 맞지만 이탈리아의 디폴트는 일어나지 않을거라고 생각함.

현재 GDP 대비 정부 부채가 100%를 넘어가며, 동시에 그 부채 규모가 1조 달러를 넘어서는 나라는 단 세 군데가 있음.

미국, 일본, 이탈리아. 미국이 망하면 어차피 세계가 망하는 거기도 하고, 막말로 미국이 배째면 세계가 사이좋게 다 같이 배가 찢어지는 상황이라... 사실상 대부분이 우려하지도 않는 시나리오 중 하나임.
이제 문제는 두 나라가 남았음. 일본과 이탈리아. 일본은 다들 잘 알테고, 이탈리아가 왜 문제인지 이야기해봄.

#1. 이탈리아의 내수 경제
- 이탈리아는 어마어마한 내수 국가임. 경제 70% 정도가 내수로만 굴러갈 정도로 튼튼함.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것 중 하나가 이탈리아의 전체 산업 내 제조업 비중이 세계 7위란 사실임.
대부분 관광으로 먹고 사는 나라라 착각하는 이유는 대기업이 없다시피할 정도로 적고, 제조업 상당수가 내수를 위해 움직이며, 무역으로 움직이는 산업은 대부분 럭셔리 스포츠카, 패션, 요트와 같은 명품 산업 위주기 때문이라 생각함.

- 그런데 내수의 장점은 위기 속에서 홀로 굳건할 수 있다는 점이지만, 반대로 이야기하면 속이 곪아터지면 답이 없다는 것임. 유로존 재정위기가 터지면서 곪아있던 속은 터져버렸고 이탈리아는 제대로 된 회복을 못하고 있음. 현재 10년동안 GDP 성장률 및 경제 성장률은 1% 이내였고 마이너스 성장만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근근히 유지하는 상황임. 그런데 코로나 19가 터져버리면서 내수가 어마어마하게 위축되어버림. 거기다 이탈리아가 국경을 차단해버리면서 2차 산업 위주의 북부와 1차 산업 위주의 남부 간에서 제대로 된 트레이드가 이루어질지 의문임.

- 이탈리아는 현재 세수의 15%가 국채 빚의 '이자' 갚는데만 쓰임. 이미 빚은 못갚는 단계고, 빚 갚을 시도조차 못하는 상황임. 그리고 부채 원금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그런데 코로나가 터지면서 내수 지원을 해줘야하고 그 부채 원금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문제.

#2. 이탈리아의 무역
- 이탈리아는 상술했다시피 스포츠카(자동차), 요트(중공업), 패션(명품), 케이블(전선) 등이 해외에서 잘 알려진 산업들임. 딱 봐도 알겠지만 사치성 짙은 물건 위주라서 경기가 좋지 않으면 매출에 상당히 타격이 들어감. 물론 이미 패션이고 자동차고 상당수가 프랑스, 독일 등에 매각된 상황임.

#3. 이탈리아의 코로나가 왜 위험한가?
- 이탈리아는 지금 중국처럼 한 지역에서 70%의 감염이 터졌음. 그 지역은 롬바르디아주로 인구 1,000만명이 살고 있는 굉장히 큰 주임. 주도는 밀라노. 님들이 아는 그 밀라노 맞음. 밀라노는 알다시피 상공업, 금융의 중심지임.

- 문제는 남쪽으로는 에밀리아로마냐 주가 있고, 동쪽으로는 베네토 주가 있음. 그리고 에밀리아로마냐 주 밑으로는 토스카냐 주가 있음. 밀라노가 상공업의 중심지라면 에밀리아로마냐 주는 밀라노를 기반으로 롬바르디아주를 움직이는 온갖 협동조합 기업이 있는 곳임. 돈을 버는 곳은 롬바르디아지만, 그 돈을 움직이는 곳은 에밀리아로마냐에 집중되어 있음. 그리고 그 주위로 있는 토스카냐, 베네토 또한 경제의 중심지들임. 우리나라로 치면 하필 코로나가 세게 터져버린 곳이 수원인 셈. 서울, 인천, 경기 남부로 퍼질지 노심초사해야하는 상황.

- 그리고 알다시피 관광 산업 비중도 매우 높음. 베네토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중심지로 산업적 가치도 높지만 관광업적 가치도 매우 높은 곳임. 그리고 토스카냐는 두 말 필요없는 관광의 중심. 님들이 아는 이탈리아의 피렌체 지구, 피사 대성당, 발도르차, 메디치 정원 등이 있음. 그리고 여기에 직물 산업의 50% 이상이 몰려있음. 일단 관광은 전세계가 사이좋게 작살났으니... 참고로 이탈리아의 GDP 대비 관광업 비중은 2014년 기준 10.4% 로 평균 8.1% 를 상회하는 수준. (한국 5.8%, 미국 8.4%)이며, 관광경쟁력 지수 8위의 관광 대국(이탈리아보다 높은 곳: 스페인,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미국, 호주)이자 순수 관광객 수로는 세계 탑5를 내놓은 적 없는 강국(프랑스, 스페인, 미국, 중국 다음 순이고 이 밑은 다 고만고만함).

#4. 정말 디폴트는 발생하는가?
- 나는 낮은 확률이라고 생각함. 진짜 개좆되기 전에 어찌저찌 국경을 막았고 다행히 아직까지는 롬바르디아 외에는 특별히 심각한 감염 사태가 보이지 않고 있거니와, EU 대장인 독일도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하고 있으므로 대책 시나리오를 충분히 구축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함. 그리고 워낙 무역 입지가 약해져있는 상황이라 세계 다발적으로 디폴트를 일으킬 도미노 조차 없는 상황임.

- 그런데 지금 시장은 그 낮은 확률이 연달아 터지고 있어서 마냥 '에이 설마'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고 충분히 걸어볼만한 딜이라고 생각함.

- 그리고 시장은 숫자로 얘기하는 거임. 암만 내가 이렇게 위기다 뭐다 떠들어대도 이미 금요일에 이탈리아 증시 선물은 11% 오름^^. 그냥 시장이 미쳐돌아가는 와중인데 상식적으로 생각해봤자 의미도 없음.

#5. 결론
- 이탈리아 위험하다.
- 다만 디폴트는 낮은 확률이고, 나는 그 낮은 확률은 믿지 않지만 충분히 터질 수 있으니 걸어볼만은 하다.
- 그럼에도 이탈리아 선물은 왜 11% 오르고 있는지 이해도 안간다. 시장이 미친거 같다.

댓글 51

KT · 1*******

뭐.. 개인적인 근거는 없지만 빵상의 힘을 빌리자면,
- 이탈리아 디폴트 직전까지 감
- 그때 주변에서 도와주려고 함
- 다만 딜의 내용이.. "받아들여 아님 뒈지시든가"라서 울며 겨자먹기로 ㅇㅋ하고 부도는 간신히 모면

예상해 봄..

SFA · 우*******

좋은글 감사합니다 😋😋

NAVER · I*********

글 감사 미국도 써줘!!

인기 채용

더보기

주식·투자 추천 글

토픽 베스트

이직·커리어
군대이야기
TV·연예
헬스·다이어트
보험
부동산
여행·먹방
이력서·면접 팁
직접 홍보
직장인 취미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