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자녀교육·입시

초등 학교폭력 대처 요령

공무원 · 초*****

<요약>

1️⃣ 아이들은 어려서 다들 실수를 한다. 내 아이가 다른 아이를 괴롭혔다? 내 아이의 잘못을 바로 잡아줄 기회! 지나친 방어🙅

2️⃣ 내 아이가 피해자다? 아이가 상처를 회복하고 잘지낼 수 있도록 하는것에 집중! 부모의 화풀이🙅

3️⃣ 사과는 빠를수록 좋다! 진심어린 사과 중요!!

4️⃣ 폭력의 경중은 아이들 눈높이에서 이해하기! 별것도 아닌일로 난리다🙅

초등교사 1n년차. 주로 학년은 6학년, 업무는 학폭이나 생활인성부장을 맡아서 학교폭력 사안 처리 경험이 많음.

요즘 초등에서 학폭신고건수가 늘고 있고 그 이유는 (어른이 보기에) 사소한 일들도 학폭으로 신고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임. 그 중에는 학부모들이 초기에 대처를 잘했으면 일이 커지지 않았을법한 사안들도 많아 안타까울 때가 많아 이 글을 쓰게 되었음.

보통 아이가 상대 아이로 인한 고통을 호소했음에도 상대 아이의 괴롭힘이 지속되었을때 최후의 수단으로 학폭 신고를 함. 학폭으로 신고되면 가피해학생, 부모 모두 꽤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됨. 가장 좋은것은 초기에 잘 대처해서 문제를 해결하는것임.

1. 내 아이가 다른 아이를 괴롭혔다?
평소 문제 없는 아이였다면 전화를 받고 많이 놀라고 믿기 어려울 것임. 일단 죄송하다, 아이에게 확인해보겠다 말하고 끊고 아이에게 확인한다.
⚠️'애들끼리 그럴수있지, 뭐 이런 일로 연락을 하냐' 절대 안됨! 학폭 신고로 가는 지름길임
⚠️아이가 사실대로 말할수있게 흥분을 가라앉히고 물어볼것

1) 아이의 잘못이 맞음
바로 상대 부모에 연락해서 사과할것. (학교에서 연락받았고, 상대 부모 연락처 모르면 담임교사에 연락처 요청) 아이의 잘못이 클 경우 직접 아이와 함께 찾아가서 사과하는것도 좋음.

내 아이 감싸주고 싶겠지만 상대 부모 앞에서 그러면 역효과남. 변명이 아닌 진심어린 사과가 중요함.

아이에게는 사실대로 말한 것을 칭찬해주고, 무엇을 잘못한것인지 정확히 알려주고 반복하지 않게 해야함. 누구나 실수를 하니 괜찮다, 같은 일 반복 안하면 된다 안심시켜주는것도 중요. 부모만 전화로 사과했다면 학교에 가서 아이도 사과하도록 할 말이나 편지 함께 준비

2) 아이의 잘못이 아님
오해가 있다면 상대 부모에 다시 연락해서 상황을 설명할 필요가 있음. 상대 부모가 받아들이면 속상하셨겠다, 오해였지만 이런일 없도록 아이 잘 지도하겠다로 마무리 짓는 것이 좋음. 상대 부모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부모 싸움으로 커질수있으니 적당히 마무리하고 담임교사에 알려 도움을 청하는것을 추천!

아이가 한일이 아니라 하면 아이가 거짓말 했을 가능성을 놓치지말아야함. 일단은 상대 부모에 연락해서 아이는 아니라 하는데 얘가 거짓말 하는 것일 수 있으니 다시 확인해보고 잘 지도하겠다 죄송하다로 마무리하는것이 좋음. 이후에 아이의 잘못인걸 알게 되면 바로 연락해서 제대로 다시 사과할것.
*경험상 상대 부모에게 연락할 정도면 사실인 경우가 대부분임

2. 내 아이가 괴롭힘을 당했다?

1) 부모의 태도
가장 중요한것은 부모가 아이를 충분히 공감해주고 위로해주되 평정심을 유지하는 것임. 자신의 일로 부모가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며 아이는 더 상처받고 힘들어짐.

내가 아이를 지키지못했다 자책하지 말것. 내가 잘못 키워서, 내 아이가 잘못해서 괴롭힘을 당한 것이 아니라 괴롭힌 아이들이 잘못한 것임을 잊지말아야함.

속상한 마음에 아이한테 바보같이 왜 당하고만 있었냐 다그치는것 금물!

2) 해결
⚠️ 상대 아이를 직접 지도하는 것은 권하지 않음!!
⚠️ 다른 부모에게 누가 우리애한테 이랬다~ 말하는 것은 남의 아이 험담하는 것이 될 수 있으니 제3자에게는 얘기하지 않는것이 좋음

- 상대부모에 연락 : 사안이 심각하지 않으며 상대 부모와 안면이 있는 경우 직접 연락해서 알리고 상대 아이 지도를 부탁하는 것이 좋음.

- 담임교사에 연락 : 사안이 심각하거나 상대 부모를 모르는 경우 담임교사에 연락해서 사실을 알린다. 그럼 담임교사는 보통 해당 아이들에게 사실 관계 확인하고 지도할거 지도하고 양쪽 부모에 전화해서 얘기해줄것임.

- 학교폭력신고 : 사안이 심각하거나 상대 부모 또는 담임교사 통해 상대 아이 지도를 했음에도 괴롭힘이 계속되는 경우. 단, 학폭 신고는 상대 아이를 계도하여 내 아이에게 더이상 피해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어야함.

복수심에 불타 변호사 선임하고 상대 아이, 부모, 학교 공격하는데 집중하면 결국 내 아이가 학교에서 잘지내기 어려워짐.

학폭 관련해서는 부모님들께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지만 여기서 마무리합니다.

학교폭력 없는 평화로운 학교를 꿈꿉니다🕊️

댓글 5

휴맥스 · k*****

글 감사해요 현업 있는 친구들 이야기 들어봐도 서로 이야기로 풀 수 있는데 요즘 바로 학폭으로 가서 돌이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구요. 고생많으세요.

한국공항공사 · ¡*********

글 잘 읽었습니다.

근데 뉴스에 이런게 있던데

https://youtu.be/1axeYqHsBjI?si=Ff8hZuMDtapsLSQL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인하대병원 · g****

😀😀저도 초등학생키우는데 학폭으로 이슈가 많더라고요ㅠ
고생 많으세요

공무원 · 초***

와 이번에 아이가 친구에게 맞고 왔는데 이 글이 딱 위로가 되네요,, 제가 상대 부모에게 바라는 점이 딱 이거라ㅠ

변호사 · D*****

재발방지와 학교측의 적극적 사후조치를 위해서는 1호 서면사과가 나오더라도 결정을 받는 것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변호사를 선임한다고 하여 꼭 다툼을 키우고 상황을 악화시키는 것은 아니니 대응방안을 정하기 전에 상담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인기 채용

더보기

자녀교육·입시 추천 글